Surprise Me!

[뉴스포커스] 윤대통령, 리투아니아·폴란드 순방…의미와 성과는

2023-07-13 0 Dailymotion

[뉴스포커스] 윤대통령, 리투아니아·폴란드 순방…의미와 성과는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리투아니아를 찾았던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(13일)은 폴란드를 방문 중입니다.<br /><br />어제(12일) 리투아니아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도 가졌는데요.<br /><br />정치부 구하림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작년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했죠.<br /><br />먼저 이번 순방의 의미부터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대서양조약기구, 나토는 미국과 서유럽국가가 중심이 되는 안보 기구입니다.<br /><br />사실 우리나라는 가입국이 아니라 나토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파트너국 중 하나인데요.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의 글로벌 패권경쟁이 심화하면서, 나토 입장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와의 협력 필요성이 커졌고, 우리나라 역시 글로벌 중추국가를 표방하며 국제사회의 자유와 연대를 위한 역할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, 윤 대통령이 2년 연속 방문하게 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우선 윤 대통령은 이번에 나토와 11개 분야의 개별 맞춤형 파트너십이 담긴 ITPP를 체결했습니다.<br /><br />나토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더 강화하고, 이를 제도화해서 계속 이어 나가겠다는 것인데요.<br /><br />사이버 안보나 대테러, 신흥기술 같은 분야가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또 나토와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나토가 주도하는 군사 훈련에 참가할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를 포함해서 나토의 아시아태평양지역 파트너국이 4개국 있는데요.<br /><br />일명 AP4라고 합니다. 일본, 호주, 뉴질랜드이고요.<br /><br />이번 정상회의에 4개국 정상이 모두 초청을 받아 참석했는데, 어제는 이 4개국 정상이 별도 회동을 갖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어제 북한의 도발이 있었던 만큼, AP4 정상들은 대서양 안보와 태평양의 안보는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데에 공감대를 이뤘습니다.<br /><br />나토와 연대해서 강력한 집단안보태세를 확립하고, AP4 국가가 인도태평양지역 안보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뜻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는 리투아니아에서 한일정상회담도 이뤄졌죠.<br /><br />후쿠시마 오염수 문제 때문에 나토 정상회의보다 이 부분에 더 관심이 집중됐던 것 같기도 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일 정상의 만남은 6번째고, 올해 들어서만 4번째입니다.<br /><br />회담은 30분간 이어졌고요.<br /><br />양국 정상이 만나는 모습을 보면 지난해 첫 만남 때보다 한층 부드러워진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특히 기시다 총리가 먼저 한국어로 인사를 건네면서 친밀감을 표현했습니다.<br /><br />양국 최대 난제이던 강제징용 문제가 풀리면서 불과 1년 만에 두 나라 정상의 관계가 크게 바뀐 건데요.<br /><br />격세지감이라는 말이 생각납니다.<br /><br />이번 회담에선 오염수 문제와 관련해 어떤 논의가 이뤄질지 저도 굉장히 궁금했는데요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국민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면서, 우리측 전문가가 향후 방류 점검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방류가 시작되면 국제원자력기구 IAEA측이 후쿠시마 현지 사무소에서 방류 과정이 계획대로 이뤄지는지 모니터링하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여기에 우리 측 전문가를 파견해서 참여하도록 하자는 취지입니다.<br /><br />또 방사성 농도 기준치 초과 등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방류를 중단하고,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것을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는 방류 계획에 문제가 없다고 한 IAEA 보고서를 언급하면서, 방류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 국민 건강에 악영향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모니터링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, 문제 발생 시 즉각 방류를 중단하고 알리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회담 결과 자료에는 우리측 전문가가 점검 과정에 참여하게 해달라는 윤 대통령의 요구에 기시다 총리가 어떤 반응을 보였다는 직접적 표현은 없었는데요.<br /><br />사실 회담 결과 자료는 양측이 어느 정도 사전 협의를 거치거나 교감을 한 뒤 발표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까.<br /><br />거기에 이런 요청 내용이 포함돼 있고, 기시다 총리가 한국민 건강에 악영향 없게 하겠다고 밝힌 점, 또 최근 한일 관계의 개선 흐름을 보면, 윤 대통령의 요구를 일본 측이 수용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, 이렇게 예측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염수 문제 말고도 한일 현안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어제 또 어떤 논의가 있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평가, 그리고 앞으로도 관계 증진을 이어가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도 한일 협력을 이어가고, 올해 하반기에도 격의 없는 만남을 이어가자고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한목소리로 규탄하고,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자는 내용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 측에서 한미일 정상회의를 워싱턴에서 열자고 제안을 했었는데요.<br /><br />이에 대해 한일 정상은 "3국 안보 협력의 획기적 이정표가 될 것"이라고 기대했고, 미국의 제안을 환영했습니다.<br /><br />한일 고위경제협의회를 연내 재개하기로 합의했는데요.<br /><br />안보뿐 아니라 경제 산업 등 분야에서도 관계 복원, 관계 발전을 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뿐만 아니라 문화,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말씀하신 것처럼 어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정상회의에서 발언을 했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내용이 있었습니까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나토 정상회의 이틀차였던 어제,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 대통령, 그리고 서방의 정상들이 함께 모여 머리를 맞대던 시기에 북한이 도발을 감행한 건데요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리투아니아 현지 시간으로 새벽에 화상으로 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북한 도발을 강력히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"북한의 불법적 핵·미사일 개발이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과 제재에 직면할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"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한미 간, 그리고 우리가 독자적으로 취할 군사, 외교적 조치를 차질 없이 실시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에서 북핵 문제와 우크라이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었는데요.<br /><br />마침 북한의 도발과 맞물려 북핵 대응을 좀 더 부각할 수 있는 자리가 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...

Buy Now on CodeCanyon